Q1.
(08-06 참고)
HomeController에서 MyCalcService 인터페이스 구현체의 객체를 자동으로 할당하는게, 자동으로 생성한다는 의미야?
A1.
네, 맞습니다. @Autowired 어노테이션은 Spring Framework에서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을 통해 MyCalcService 인터페이스의 구현체를 자동으로 할당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1. Spring 컨테이너는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MyCalcServic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합니다.
2.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붙은 필드에 해당 객체를 자동으로 주입합니다.
이렇게 하면 HomeController 클래스는 MyCalcService의 구현체를 직접 생성하거나 관리할 필요 없이, Spring이 알아서 필요한 객체를 주입해줍니다.
Q2.
객체 할당 이라는 말은, 객체 생성 이라는 말과 같은 의미야?
A2
엄밀히 말하면, 객체 할당과 객체 생성은 같은 의미가 아닙니다.
1. 객체 생성: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메모리에 만드는 과정입니다. 예를 들어, new 키워드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2. 객체 할당: 이미 생성된 객체를 변수에 대입하는 과정입니다.
Spring Framework에서는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의존성을 주입할 때, Spring 컨테이너가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해당 필드에 할당합니다. 따라서 @Autowired를 사용하면 객체 생성과 할당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HomeController 클래스에서 myCalcService 필드는 다음과 같이 주입됩니다:
@Autowired
private MyCalcService myCalcService;
이 경우, Spring은 MyCalcService의 구현체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myCalcService 필드에 할당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객체 생성과 할당을 직접 처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Q3.
@Autowired 어노테이션으로 객체의 생성과 할당을 모두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다면, MyCalcServiceImpl 에서 public MyCalcServiceImpl(){ log.debug("MyCalcServiceImpl 생성자로 만들어부려쓰"); } 이 부분은 필요가 없는거야?
A3.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객체의 생성과 할당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지만, 생성자는 여전히 필요할 수 있습니다. 생성자는 객체가 생성될 때 특정 초기화 작업을 수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MyCalcServiceImpl 클래스의 생성자에서 로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로깅은 객체가 생성될 때마다 실행되므로, 디버깅이나 초기화 작업을 위해 유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성자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지만, 특정 초기화 작업이나 로깅을 위해 생성자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public class MyCalcServiceImpl implements MyCalcService {
private static final Logger log = LoggerFactory.getLogger(MyCalcServiceImpl.class);
public MyCalcServiceImpl() {
log.debug("MyCalcServiceImpl 생성자로 만들어부려쓰");
}
// 기타 메서드 구현
}
이렇게 하면 @Autowired를 통해 객체가 주입될 때, 생성자가 호출되어 로깅이 수행됩니다. 따라서 생성자는 여전히 유용할 수 있습니다.
Q4.
public MyCalcServiceImpl(){ log.debug("MyCalcServiceImpl 생성자로 만들어부려쓰"); } 저기서 로깅을 할 이유가 사라졌다면, 이제 저 생성자는 존재할 이유가 없는거네?
A4.
네, 맞습니다. 만약 생성자에서 수행하는 로깅이나 초기화 작업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면, 해당 생성자는 제거해도 됩니다. Spring이 자동으로 객체를 생성하고 주입할 때 기본 생성자를 사용하기 때문에, 특별한 초기화 작업이 없다면 생성자를 명시적으로 정의할 필요는 없습니다.
따라서, 생성자를 제거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ublic class MyCalcServiceImpl implements MyCalcService {
// 기타 메서드 구현
}
이렇게 하면 Spring이 기본 생성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고 주입할 것입니다.
Q5.
이처럼 객체를 주입 받는건, 자동으로 생성과 할당 둘 다 된다는 말인가?
A5.
네, 맞습니다. Spring Framework에서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객체의 생성과 할당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집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객체 생성: Spring 컨테이너가 애플리케이션이 시작될 때 @Service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합니다. 이 경우 MyCalcServiceImpl 클래스의 인스턴스가 생성됩니다.
객체 할당: @Autowired 어노테이션이 붙은 필드에 해당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주입합니다.
따라서, HomeController 클래스에서 @Autowired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MyCalcServiceImpl 객체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할당됩니다.
예를 들어, HomeController 클래스에서 다음과 같이 MyCalcService를 주입받을 수 있습니다: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Controller
public class Home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MyCalcService myCalcService;
// 기타 메서드
}
이 경우, Spring은 MyCalcServiceImpl 객체를 생성하고 이를 myCalcService 필드에 할당합니다. 따라서 개발자는 객체 생성과 할당을 직접 처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MyCalcServiceImpl 클래스의 생성자에서 로깅을 할 필요가 없다면, 생성자를 제거해도 됩니다. 생성자를 제거한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package cohttp://m.stevek.aop.services.impl;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cohttp://m.stevek.aop.services.MyCalcServic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Slf4j
@Service
public class MyCalcServiceImpl implements MyCalcService {
@Override
public int plus(int x, int y) {
return x + y;
}
@Override
public int minus(int x, int y) {
return x - y;
}
}
이렇게 하면 Spring이 기본 생성자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고 주입할 것입니다.
'언어 및 도구들 공부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Bean? Bean 클래스? (0) | 2024.10.17 |
---|---|
@Component, Bean, 그리고 싱글톤으로 생성 (0) | 2024.10.17 |
객체 의존성 주입 대상 범위 (0) | 2024.10.17 |
HttpServletRequest 파라미터와 HttpServletResponse 파라미터 (1) | 2024.10.17 |
SessionController 에서의 데이터 이동 (0) | 2024.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