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및 도구들 공부/Javascript

RESTful 라우팅

Dr.Mlem 2024. 9. 5. 15:09
주소창에서, json의 id값으로 이동하는 것을 무슨 방식이라고 해?
 

ChatGPT said:

ChatGPT

주소창에서 JSON의 id 값으로 특정 페이지나 리소스로 이동하는 방식을 흔히 "URL 라우팅(URL Routing)" 또는 **"RESTful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URL 라우팅과 RESTful 라우팅

  1. URL 라우팅:
    •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URL을 기반으로 특정 페이지나 리소스로 이동하도록 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https://example.com/users/123라는 URL에서 123은 사용자의 ID 값입니다. 이 ID 값은 서버에서 해당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가져오는 데 사용됩니다.
  2. RESTful 라우팅:
    •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 아키텍처 스타일을 따르는 API에서, 리소스를 식별하기 위해 URL 경로에 ID 값을 포함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GET https://api.example.com/users/123는 ID가 123인 사용자의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요청을 나타냅니다. 여기서 123은 JSON 데이터의 id 값과 같은 역할을 하며, 특정 리소스를 식별합니다.

URL에 JSON의 ID 값을 사용하는 이유

  • 식별자 역할:
    • URL 경로에서 ID 값은 데이터베이스나 JSON 객체에서 특정 항목을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는 API나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어떤 리소스를 요청하거나 업데이트할 것인지를 명확히 정의하는 데 유용합니다.
  • RESTful 설계 원칙:
    • RESTful API는 자원을 명확하게 식별하기 위해 URL 경로에 고유한 ID를 포함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이 일관되고 이해하기 쉽게 됩니다.

따라서, 주소창에서 JSON의 ID 값을 사용하여 리소스로 이동하는 방식은 "URL 라우팅"이나 "RESTful 라우팅"으로 불릴 수 있습니다.

 
 
4o

You said:

RESTful 라우팅의 방법에, 백엔드의 json내의 키값으로 이동하는 방법도 있어?
 

ChatGPT said:

ChatGPT

RESTful 라우팅에서는 일반적으로 URL 경로를 통해 리소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것은 **고유 식별자(ID)**입니다. 이 고유 식별자는 대개 JSON 데이터에서 특정 객체를 식별하는 id 필드 값으로 표현됩니다. 그러나 id 외의 다른 키값으로도 리소스를 찾고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RESTful 라우팅에서 JSON의 키값을 이용하는 방법

RESTful 라우팅에서는 보통 URL 경로를 통해 리소스를 지정할 때 다음과 같은 규칙을 따릅니다:

  1. ID를 사용한 라우팅:
    •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고유 식별자인 id를 사용하여 URL에서 특정 리소스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 예: GET /users/123 → ID가 123인 사용자 정보 요청.
  2. 다른 키값을 사용한 라우팅:
    • ID 대신 JSON의 다른 키 값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식별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이름이나 이메일과 같은 고유한 속성을 사용하여 리소스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 예: GET /users?username=johndoe 또는 GET /users/email/johndoe@example.com.
    • 이러한 방식은 리소스를 검색하거나 특정 조건에 따라 필터링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3. 리소스 내 키값을 사용한 필터링 및 검색:
    • RESTful API는 종종 URL 경로와 쿼리 매개변수(query parameters)를 함께 사용하여 특정 조건에 따라 리소스를 필터링하거나 검색합니다.
    • 예: GET /products?category=electronics&price=100-500 → JSON 데이터에서 category가 electronics이고 price가 100에서 500 사이인 제품 검색.
  4. 하위 리소스를 라우팅하는 경우:
    • 하위 리소스에 접근할 때, 상위 리소스의 키값을 사용하여 접근할 수 있습니다.
    • 예: GET /orders/123/items → 주문 ID가 123인 주문의 모든 아이템을 가져옵니다.

JSON의 특정 키값으로 이동하는 방법

RESTful 라우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JSON 내 특정 키값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1. 경로 매개변수(Path Parameters) 사용:
    • 경로의 일부로 특정 키값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고유한 username이 있다고 가정할 때, GET /users/username/johndoe와 같은 경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2. 쿼리 매개변수(Query Parameters) 사용:
    • 특정 키값을 검색하거나 필터링하는 데 사용하는 쿼리 매개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GET /users?email=johndoe@example.com과 같은 형식으로 이메일을 기준으로 사용자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3. 백엔드에서 구현된 맞춤 라우팅:
    • 서버 측에서 JSON의 특정 키값을 기준으로 맞춤 라우팅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유한 nickname으로 등록되었다면, GET /users/nickname/champion처럼 맞춤형 라우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결론

RESTful 라우팅에서 반드시 id만 사용할 필요는 없으며, JSON의 다른 키값으로도 경로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어떤 키값을 사용하는지에 따라 API의 설계 방식이 달라지며, 특히 고유하지 않은 속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중복되는 결과가 반환될 수 있어 설계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